만죠
[코드스테이츠 PMB 17기][W4D3] UX/UI -3 알라딘 / 사용자 행동 경로/ User Flow/ 요구사항 문서/ PRD 본문
[코드스테이츠 PMB 17기][W4D3] UX/UI -3 알라딘 / 사용자 행동 경로/ User Flow/ 요구사항 문서/ PRD
만죠 2023. 3. 3. 11:41프로덕트의 사용자 행동 경로(User Flow) 파악 후, 산출물 만들어보기(Wireframe, PRD)
알라딘 인터넷서점의 User flow를 그려 보며, 그 과정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개선되야할 UX 개선점을 도출할 것이다. 도출된 개선점을 바탕으로 와이어프레임을 제작하고 요구사항 문서로 정리해보자 한다
알라딘
1. 알라딘의 중고책 구매 User Flow
알라딘 도서판매, 전자책, 알라딘 굿즈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 중 다른 인터넷 서점과 차별점을 가지고 있는 알라딘 중고책 서비스에 집중하여 user flow를 그려보았다.
2.알라딘 User Flow 분석 후 UX 개선점 도출 하기
1️⃣ 홈 화면 메뉴의 불편함
알라딘은 홈 화면 검색창 하단에 전 메뉴를 가로로 줄지어 나열해놨다. 사용성이 낮은 메뉴들도 홈 메뉴에 배치함으로써 이미 콘텐츠와 배너 광고 등으로 꽉찬 메인 화면을 더 무겁게 만든다. 햄버거 버튼을 눌러 앱 내 모든 메뉴를 확인할 수 있다. 기존 알라딘 웹의 다양한 기능을 모바일 화면에 모두 넣기보다는 모바일 사용자의 패턴을 파악해서 그에 맞게 간소화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홈 화면 메뉴를 고객의 편리와 관계없이 늘어 놓기보다는 사용자가 직접 노출시킬 메뉴를 설정할 수 있게해, 홈 화면 메뉴의 사용성을 높이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다.
2️⃣ 중고온라인 메뉴, 중고매장 메뉴에서 책 검색 시 검색결과 리스트에 불필요한 카테고리 노출
중고온라인 메뉴에서는 중고베스트, 새로 등록된 중고, 균일가 등의 하위메뉴를 통해 등록된 중고책을 확인할 수 있다. 중고매장 메뉴는 특정 중고매장을 클릭해 해당 중고매장안의 중고책들만 검색할 수 있다. 따라서 중고책을 검색할 때는 검색창을 통해 일괄 검색하게 된다. 이때 검색한 책의 검색결과가 각 카테고리 별로 출력된다. 국내서, 외서, 음반 그리고 관련성이 매우 떨어지는 '커피' 카테고리까지 사용자는 9개나 되는 카테고리를 가로 스크롤로 돌려가며 중고온라인과 중고매장에서 몇권의 책을 보유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불편함을 감수하고 있다.
3️⃣ 우주점 중고서적 검색결과 카테고리 재설정 필요
홈에서 우주점 메뉴 클릭 후 검색창에 중고서적 검색 시 '국내서 카테고리'로 검색결과를 보여준다. 문제는 중고책 상세페이지에 구매유형을 확인해보면 '이 광활한 우주점'으로 나온는 점이다. '이 광활한 우주점'은 알라딘 중고매장 상품으로, 매장에서 판매하는 중고책을 알라딘 앱으로 구매해볼 수 있는 서비스이다. 때문에 우주점 메뉴에서 도서를 검색할 시 '중고매장 카테고리'로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 맞다고 생객한다. 실제 앱에서도 중고서적 검색 시 해당 책을 보유한 중고매장 수와 상세 페이지 구매유형 '이 광활한 우주점'에 등록된 매장 수는 동일하다. 뿐만 아니라 중고매장 검색결과에서 중고매장명을 클릭 시 책 상세페이지와 '우주점에서 구매하기' 버튼이 존재하고, 클릭 시 해당 중고책의 상세페이지로 이동한다.
3. UX 개선 와이어프레임 제작
현재 중고온라인과 중고매장 화면에서는 등록된 중고서적들에 대한 확인은 가능하지만, 특정 도서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상단의 검색창을 이용해 전체 검색 결과 내에서 중고온라인과, 중고매장 카테고리를 클릭해 검색결과를 비교해야한다. 검색 결과 출력 시 세부 카테고리는 통합을 제외해 총 9개 이며, 그 중 중고서적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카테고리는 중고온라인, 중고매장 2가지 이다.
현재 서적 검색 결과 시 보여지는 9개 메뉴를 가로 스크롤하여 중고서적과 관련된 카테고리를 찾아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물론 유저가 원하는 책의 상세페이지로 바로 들어갈 수 있지만, 검색결과 리스트에 불필요한 정보를 지움으로써 고객이 하려는 액션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고 생각한다. 중고온라인, 중고매장 메뉴 진입 후 검색창을 통해 검색할때, 중고서적과 관련된 카테고리만 보여줘, 유저가 다른 선택지를 봄 으로써 고민하는 시간을 줄여준다.
4. PRD작성 (WHY 기반의 기획서 형태)
1페이지의 기획 산출물을 작성해 봅시다.
PRD 구성 요소
1. 요약 및 배경(Summary and Background)
: 문제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 기획의 중요성을 검증 또는 강조하기 위해 유저 리서치의 내용 등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중고책에 대한 온라인 수요증가
중고도서 시장은 2014년 도서정가제 시행 후 큰 폭으로 성장하였는데, 2010년 1,180억에서 2014년 2,470억으로 두 배 이상 성장했으며, 2016년 3,334억 규모로 추정 됐다. 모바일을 통한 SNS, 다양한 영상매체 등 콘텐츠의 소비로 인해, 독서율이 줄어들며 오프라인 서점의 매출 하락을 보이고 있으나, 모바일과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소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알라딘은 2020년 전국 알라딘 중고매장에 있는 상품을 온라인으로도 주문할 수 있는 중고매장 ‘이 광활한 우주점' 서비스를 공개했다. 이 광활한 우주점 서비스는 그동안 중고매장의 상품을 온라인에서 구매하고 싶다는 고객의 니즈를 반영해 기획됐다. 실례로 알라딘 중고서적을 찾는 고객들은 심지어 심부름 사이트나 중고 거래 사이트 등에서 먼 곳에 있는 매장의 상품을 대신 구매한 뒤 택배로 보내주면 사례를 지급해가며 중고책을 구매하기도 했다.
이는 알라딘 중고서적을 이용하는 고객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알라딘은 '이 광활한 우주점' 중고매장 서적온라인 구매 서비스를 통해 고객들의 페인포인트를 해소하고, 좀 더 편리하게 중고도서를 구매할 수 있는 고객경험을 제공하고자 했다.
하지만 모바일 앱을 통한 중고도서 구매는 검색결과와 관련성 없는 카테고리 노출로 인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떯어트리고 있다. 특정 중고책을 검색하기 위해 유입된 유저는 일정이상의 구매의사를 가지고 해당 도서 탐색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고객의 상품 탐색 흐름이 끊기지 않게 ux를 개선하여 구매까지 전환할 수 있어야한다.
2. 주요 사용자(Target Users)
: 주요 사용자는 누구이며, 우리 프로덕트에서 이 사용자 그룹이 중요한 이유를 포함해야 한다. (우선순위 강조 필요)
도서를 주로 중고책으로 구매하는 사용자를 주요 대상으로 한다. 알라딘 중고서점은 새 책과 다름없는 상태의 책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게 해줬고, 이는 중고책을 자주 구매하는 고객에게 '상태좋고 저렴한 책'이라는 가치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객의 니즈와 알라딘의 중고거래 서비스의 핏이 맞아 떨어지기 때문에, 해당 고객을 가장 중요한 타겟으로 설정했다.
3. 핵심 사용자 여정(Critical User Journeys (CUJs))
: 문제 해결 후, 우리가 정의한 사용자는 프로덕트(기능, 서비스)를 어떻게 사용하게 될 것인지 고객 요구에 집중하여 작성한다.
중고서적 검색결과의 카테고리가 간소화된다면 고객이 필요한 정보를 찾는 시간이 단축될 것이고, 고객의 중고서적 검색 과정이 단순해질 수 있을 것이다. 기존 검색결과 리스트에 불필요한 정보를 지움으로써 고객이 고민할 시간을 덜어줘 더 효율적으로 고객이 다음 행동을
검색결과 리스트에 불필요한 정보를 지움으로써 고객이 하려는 액션에 집중할 수 있을 것이다. 중고온라인, 중고매장 메뉴 진입 후 검색창을 통해 검색할때, 중고서적과 관련된 카테고리만 보여줘, 유저가 다른 선택지를 봄 으로써 고민하는 시간을 줄여준다.
4. 기능적 요구사항(Functional requirements)
: 해결 방안의 세부 기획을 작성한다. 최대한 상세하게 정리하는 것이 좋다. 다만, 특정한 솔루션을 강요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중고온라인, 중고매장 메뉴에서 책 검색 시, 중고서적과 관련된 결과를 가진 카테고리만 출력하기
중고온라인, 중고매장 메뉴에서 책 검색 시, 검색결과에 출력되는 카테고리 개수 제한하기
특정 카테고리 선택했을 경우, 글꼴 색 및 굵기 변경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