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만죠

[코드스테이츠 PMB 17기][W1D4] 프로덕트 매니저 이해하기-4 삼쩜삼/탈세는 안해도 절세는 해야지/시장조사/퍼플오션과 대안재/수정 중 본문

PMB/Daily 과제

[코드스테이츠 PMB 17기][W1D4] 프로덕트 매니저 이해하기-4 삼쩜삼/탈세는 안해도 절세는 해야지/시장조사/퍼플오션과 대안재/수정 중

만죠 2023. 2. 9. 23:58

대안재 :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제품


(필수) 전날 과제 (Day 3)에서 작성한 프로덕트를 담당하는 신입 PM으로서 시장분석을 통한 프로덕트 전략 수립을 위한 리서치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다음 절차에 맞게 자료를 조사해 정리해 봅니다.

 

삼쩜삼은 홈택스 정보를 기반으로 종합소득세 환급 신고를 도움

삼쩜삼 신고 후 세무서에서 검토를 진행하며, 세무서 일정에 따라 환급액 입금까지 최대 3개월 소요됨

환급액 입금은 관할 세무서가 담당하는 부분으로 환급금에서 이용로 차감이 불가능

 

1. 해당 프로덕트의 직접적인 시장의 규모를 조사해 봅니다.

택스 테크 시장 발전 현황

세계적인 택스테크(Tax-Tech) 수요의 증가 추세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포춘비즈니스인사이트에 따르면 전 세계 세금 관리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는 2018년 52억 달러에서 2026년 111억 달러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디지털 전략을 채택한 신기술 및 비즈니스의 출현은 조세 생태계의 디지털화를 촉진시키며 글로벌 세금 관리 소프트웨어 시장의 성장에 기여했다. 뿐만 아니라 국경을 뛰어넘는 비대면 경제 활동, 그리고 긱워커와 N잡러가 늘면서 개인 세무업무가 복잡해지며 택스테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세금은 인프라 개발, 공공 서비스 제공 등을 위해 필요한 자금의 원천이다. 기존 세무 시장에서 제외 됐던 고객들이 택스 테크 서비스 경험으로 인해 세무 프로세스에 유입되며, 결과적으로 더 많은 납세자들의 자발적인 세금 신고를 도모할 수 있다. 세금 관리 소프트웨어 활용으로 정부는 납세자의 데이터를 확보해, 납세자 중심 조세 시스템을 건설할 수 있을 것이고 민간 세무 시장 역시 확장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https://www.fortunebusinessinsights.com/tax-management-software-market-102631

 

+ 삼쩜삼, 이지샵, 쎔, 세친구,소크라택스 등 세무 대리 소프트웨어 서비스 매출규모 추가 필요


2. 시장에서 경쟁 중인 프로덕트와 대안재를 찾아봅니다. (둘 중 하나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한쪽만 작성합니다)

세무사가 제공하는 세무 대리 서비스 시장에서 볼때, 삼쩜삼은 대안재이다.

연말정산을 진행하며 자연스럽게 환급 신고를 하는 직장인과 다르게, 프리랜서는 종합소득세 신고를 위해 직접 환급 여부를 확인하고 세금 신고 납부 절차를 거쳐야 환급을 받을 수 있다.

이렇게 환급 여부를 확인하고 직접 신고해야 하는 방식은 '환급 사각지대'를 만들었다. 신고 절차가 복잡해 세무 대리인의 도움을 받아 환급을 받자니 돌려받을 환급액에 비해 수수료가 너무 비싸 환급 자체를 포기하는 경우가 있고, 심지어는 아예 환급 대상이라는 사실을 몰라 환급 신청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자비스앤빌런즈는 AI 기술을 활용해 사각지대에 있던 소액 세금신고 대상자들에게 세무 서비스 혜택을 제공해 주고 있다.

즉, 기존 세무 대리 시장의 대안재가 되어 세무사를 통한 신고나 세금 신고를 포기했던 사람들에게 손쉽게 세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만든 것이다.

 

*수정 부분

세무사가 삼쩜삼을 세무 대리 업무 위반으로 고소하였다. 세무 대리 업무의 위법 행위라는 점에서 삼쩜삼 서비스하지만 삼쩜삼의 주요 고객은 본인이 종합소득세 신고 여부를 모르거나, 신고 대사자임을 알아도 어떻게 신고해야 할지 모르는 납세자, 그리고 소득이 높지 않아 도리어 세금 신고 수수료가 부담스러운 고객을 대상으로 세금 신고를 도와주고 있다. 기존 세무업계가 주목하지 않았던 고객층이 느꼈던 갈증을 해소시켜주고 있다. 더 나아가 효율적인 고객 중심의 서비스로 기존 세금 환급을 하지 않던 납세자들을 시장에 유입시킴으로써 세금 관리 시장의 확장 또한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


+삼쩜삼, 이지샵, 쎔, 세친구

위 4개의 서비스는 쎔과 소크라텍스를 제외하고 개인사업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4개 서비스와 비교해 포지셔닝 추가 필요


3. 경쟁 프로덕트 및 대안재 대비 우위를 점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3가지 이상 생각해 봅니다.

퍼플오션의 대안재인 삼쩜삼이지만, 가지고 있는 문제점 역시 존재한다.

프로덕트 내 개선안을 중점으로..

후기를 살펴보자 

  • 수수료 선납, 환급 가능 여부와 관계없는 수수료 선납
  • 가입 시 세무대리인 수임과 관련 내용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 세무 신고 시 세무대리인을 수임한다는 점, 세무대리인이 국세청에 등록된다는 점, 이 등록이 일회성이 아닌 유지되는 내용이라는 점 
  • 환급절차 실시간 반영 안 됨 및 정확하게 확인불가, 세무서와 다른 환급상황으로 앱에 미반영, 진행상황 공유를 하지 않음
  • 수수료가 비싸다(환급액의 10~20%) 환급액이 클수록 수수료가 올라감.

프로덕트 내 개선안 아이디어

1. 수수료 선납 대신 보증금 선납 (삼쩜삼 앱 내에서는 '이용료'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세명 중 한 명은 환급 대상자라는 낮지 않은 확률에도 불구하고, 리뷰를 통해 환급을 받지 못한 고객들을 볼 수 있었다. 문제는 예상 환급액이 큰 고객은 환급을 받기 위해 적지 않은 이용료를 냈다는 점이다. 세무대리인 수임에 필요한 비용의 일부를 고객이 부담하는 것일까? 

삼쩜삼과 같이 

 

2. 가입 시 세무대리인 수임에 대한 안내 

전에 가입 시 세무대리인 수임에 대한 안내글을 읽었었다. 하지만 고객들이 세무대리인 수임에 대한 안내가 부족하다고 말했다. 현재 삼쩜삼에서 가입 시 해당 부분을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회원탈퇴 후 재가입을 진행해 봤다.

삼쩜삼 가입 절차

카카오 계정 로그인 > 간편 인증 > 수임동의 하기

 

수임동의 단계의 화면을 보면,

수임동의가 무엇이고 왜 어떤 일을 도와주는지에 대한 안내가 나와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은 이유로 불편함을 겪은 고객에게는 조금은 부족해 보이는 안내라고 생각한다. 

- 고객들은 국세청에 세무 대리인이 신고가 된다는 점,

- 세무 대리인 등록이 일회성이 아닌 유지된다는 점,

- 동의 시 기존 세무대리인에게 통보 없이 자동으로 해임된다는 점 

 

따라서, 위와 같은 고객의 페인 포인트를 해소할 수 있는 두 가지 방법을 생각해 봤다.

 

첫 번째, 고객이 자주 하는 질문 사항을 수임동의 단계 안내문에 추가한다.

예를 들어, '수임동의 한 세무사는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수임한 세무 대리인은 탈퇴 전까지 유지돼요.', '기존에 수임하신 세무사가 있다면 자동으로 해임돼요.' 등 문제가 되었던 사항들을 동의 확인 단계에 넣어 미리 안내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안내문을 추가한다면 고객의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두 번째, 가입 시 카카오톡으로 오는 알림톡에 수임

 

 

 

 

 

 

 

 

 

 

3. 환급 진행상황 알림 기능 : 신속하고 투명한 진행상황 공유의 필요성

앱 스토어 리뷰를 확인한 것과 같이 적지 않은 고객들이 진행상황 공유에 대해 불편함을 겪고 있다. 고객은 무려 세금 환급액을 조회하기 위해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선수수료까지 낸 상황이다. 세금 환급 신고를 마치고 기다리는 고객은 내 환급액이 언제 들어오는지 어떻게 처리되고 있는지, 전반적인 상황이 궁금할 것이다.

따라서 신고한 환급절차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앱에서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마치 배달의 민족에서 주문하면 주문 접수부터 요리, 배달 상황까지 모두 고객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환급절차의 단계마다 카톡 또는 앱 알림을 통해서 고객에게 먼저 상황을 공유하고 인지시킬 필요가 있다. 나 역시 삼쩜삼 유저로서 작년 5월 종합소득세를 신고하고 6월에 환급액을 받을 때까지 수시로 확인했다. 한 달이라는 기간 동안 홈페이지를 통해 직접 확인해야 된다는 건 그다지 달갑지 않은 경험이었다.

하지만 삼쩜삼을 기획하신 PM 님들이 과연 이러한 고객들의 페인 포인트를 몰랐을까? 프로덕트를 기획하신 PM 님들 입장에서 생각해 봤다. 많은 리뷰를 보면 '삼쩜삼 신고 후 세무서에서 검토를 진행하며, 환급액 입금은 관할 세무서가 담당하는 부분이다'라는 답변을 확인할 수 있다. 검토 및 지급이 삼쩜삼이 아닌 관할 세무서의 권한이라면 환급절차 역시 관할 세무서에 직접 문의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에 삼쩜삼에서 확인한 상황과 실제 진행상황에 차이가 있을 수도 있다. 

만약 위와 같은 한계 때문에 환급절차의 실시간 반영이 어렵다면, 고객에게 주 또는 월 단위로 먼저 진행상황과 환급 지연이유를 알려줘 고객의 불편함을 덜어줄 수 있어야 된다고 생각한다.

 

4. 환급액 단위 별 수수료 구간 설정

예를 들어, 환급액이 50만 원이라면 약 10만 원 정도 환급 신청 수수료가 부과된다. 환급액이 클수록 수수료가 올라가는 구조이다. 막상 몇만 원이 아까워 찾은 서비스에서 생각보다 많은 수수료가 나와 고민하게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환급액 단위별로 수수료 구간을 정해 고객에게 예상 환급액과 함께 


프로덕트의 기능 및 서비스 확장을 중점으로..

  • N잡러를 겨냥한 서비스를 중점으로, 삼쩜삼 MONEY 등 긱워커의 소득과 지출의 균형을 유지하여 재무안정성을 보다 높여줄 수 있는 편리하고 합리적인 금융수단 필요

프로덕트 확장 방면에서는 프리랜서를 위한 종합소득세 신고 및 절세 전략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생각했다.

현재 서비스가 간편인증을 통해 종합소득세를 신고함에 그친다면, 앞으로의 서비스는 프리랜서가 직접 자신의 경비 등

먼저 현재 삼쩜삼의 주요 고객층은 1020대이며, 더 높은 연령대 확보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22년 삼쩜삼의 회고글을 보면 고객의 70% 이상이 30대 미만으로, 이용자 평균 나이는 33.2세다. 사회초년생이 주로 사용하는 서비스인데, 반대로 이야기하자면 '경제 허리층'인 중장년 사이에서는 인지도가 떨어진다는 의미이다. 이에 삼쩜삼은 상대적으로 연령층이 높은 4050을 타켓팅해 '안전하고 믿고 쓸 수 있는 서비스'라는 콘셉트로 대규모 TV CF와 오프라인 광고를 진행했고 대규모 광고의 효과는 확실했다. 데이터 분석 결과, TV광고 전후로 40대는 297%, 50대는 331%나 증가했다.

이 부분에서 생각했다. 첫 번째, 삼쩜삼은 프리랜서, 알바 등 긱워커들을 위한 프로덕트라는 점. 두 번째, 중장년을 타케팅 한 마케팅을 통해 연령층의 확장을 이뤄냈다는 점. 종합해 생각해 보면, 사업자를 가지고 있지 않는 중장년의 프리랜서 고객의 수가 적지 않다는 점이다. 실제로 21년도에 발행된 프리랜서 노동실태와 특징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연령별 프리랜서 규모 분포를 확인해 봤다. 보고서에서 정의한 모델별로 연령대의 규모가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40~60대의 합이 30대 이하의 합 보다 크다. 폭넓은 연령대의 프리랜서 시장이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단, 연령대가 높아짐과 소득 상승이 무조건 비례하지는 않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프리랜서의 경제금융 생활에 필요한 서비스 제공하여 사용자의 앱 의존도를 높여야 한다. 예를 들어, 종합소득세 신고뿐만 아니라 마이데이터를 연결해 수입과 경비를 직접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실제 세금 신고에서 겪었던 어려움을 삼쩜삼 서비스로 해결하게 된다면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간이 늘어날 것이고 편리함을 경험한 사용자는 서비스를 다시 찾게 될 것이다. 기존 서비스가 종합소득세 신고 같이 특정 시즌에만 활성화 됐다면, 프리랜서를 위한 금융경제 플랫폼으로 도약해 충성고객이 증가하며 이탈률 역시 낮게 가져가게 되며, 서비스 및 수익구조의 확장 모두 가져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4. 해당 아이디어 중 프로덕트에 반드시 도입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1개 이상 선택하고 그 이유를 정리해 봅니다.

 

1. 환급 진행상황 알림 기능 : 신속하고 투명한 세금 환급 진행상황 공유의 필요성